posted by 고라파닭 2016. 12. 15. 01:53

KB3201845 [14393.479] 누적업데이트가 최근에 12월 9일부터 윈도 업데이트로 나왔습니다.

해당 업데이트 이후, 일부 컴퓨터에서 CPU 점유율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


https://appuals.com/how-to-fix-high-disk-usage-by-wpr_initiated_diagtrackaotlogger_wpr-system-collector-etl/


해결방법으로 DiagTrack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.


(물론, 디스크 100퍼센트 원인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만으로 해결된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. 어디까지나 참고.)


해결방법 1

서비스 시작안함 & 중지를 명령어로 이용하기.

CMD [명령프롬프트]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셔서, 다음 2가지를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 DiagTrack 서비스가 종료됩니다


sc config DiagTrack start= disabled

sc stop DiagTrack



해결방법 2 (사실상 똑같은 해결방법입니다. 다만 CMD를 이용하냐, 컴퓨터 관리 옵션을 이용하냐의 차이일뿐.)


서비스에서 직접 종료하시려면...


윈도8부터는 시작버튼에서 우클릭을 많이 활용하시면 좋습니다. 

위에 쓴 명령프롬프트[관리자]도 있고, 서비스도 컴퓨터관리 에 들어가시면 마지막에 있습니다

(윈도우+X 키를 누르셔도 나옵니다.)


윈도8부터는시작버튼 우클릭에 많은 것이 있습니다 2016-12-13_035739.png 


DiagTrack 서비스 종료하기 2016-12-13_043427.png





출처: http://windowsforum.kr/free/8113145


posted by 고라파닭 2016. 9. 23. 14:59

리눅스 PC 부팅 시,

root@localhost ~# 이런 게 뜬다.

#fdisk /dev/sda  (ssd 기준. HDD일시 fdisk /dev/hda 로 작성)

진입후

Command  (m for help): p 입력.


할당된 파티션들이 보인다.

d를 눌러서 전부 삭제.

(1~7 숫자가 나오면 하나씩 다 삭제한다)


그후 w 로 저장후 나감.


그후 윈도우 설치USB를 꼽은 후, 재부팅.

재부팅 후, bios 셋팅으로 진입. (acer는 F2키. 제품마다 진입 키 상이함)


BOOT란에 UFEI 에서 Lagacy 변경후, f10 저장후 종료.


다시 bios 셋팅 진입 후,

USB:HDD 를 맨 위로 오도록 셋팅. (f6으로 순서를 올릴 수 있음)


F10 저장 후 종료. 재부팅.




윈도우 설치란이 나온다. 깔자.

리눅스 너무 무서운것..

posted by 고라파닭 2016. 8. 30. 16:00

게임을 하려하다 보면 msvcr100 / msvcp100.dll 파일이 없어서 실행을 못할 때가 나온다.

이 경우 visual C++ 2010을 깔아줘야 하는데,


이는 본인의 컴퓨터에 맞춰 쓴 글이기에 참고하길 바란다.


본인은 windows10, 64bit 사용자며,

마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visual C++ 2010 x64, x86을 모두 깔아서 해결했다.


https://www.microsoft.com/ko-kr/download/confirmation.aspx?id=5555 (32bit)

https://www.microsoft.com/ko-kr/download/details.aspx?id=14632  (64bit)


위 홈페이지에서 다운이 가능하며,

참고할 점은,

다운 후 실행시 반드시 오른쪽 클릭-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을 해야 정상적으로 dl 파일이 깔리게 된다.


그냥 눌러서 실행하면 파일이 안깔리는 문제를 발견하였음.



-블로그에 dll파일들을 다운받게 첨부하기도 하던데, PC는 소중하니까.. 공홈에서 다운받도록 하자.



참고로 0x00007b 오류코드는 해결법이 다양한데, 이는 파일이 서로 충돌하며 발생되는 오류로..

본인은 그냥 컴퓨터 복원으로 문제 발생 전 단계로 돌려버려서 다시 해결했다.


(실제로 해결보다 그냥 이렇게 복원하는게 편하더라..물론 해당 오류가 발생 전 시간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.)


시스템구성-도구-시스템 복원 을 클릭하여 저장된 시점으로 PC복원이 가능하니 참고.

(C드라이브를 복원하는 기능으로, C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 역시 그 날자로 복귀된다. 즉, 그 사이 다운받은 파일들은 사라진다.)


내문서 파일은 변경이 안되니, 세이브파일 등에 대해선 안심해도 좋을듯.